프로그래밍 언어/JavaScript

구조분해할당 구조분해할당 구문은 배열이나 객체의 속성을 해체하여 그 값을 개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자바스크립트 표현식이다. 배열[] or 객체{} 안에 값을 편하게 꺼내 쓸 수 있는 문법이다. 배열 구조 분해 기본 변수 할당 const obj = ['one', 'two', 'three']; const [red, yellow, green] = obj; console.log(red); // 'one' console.log(yellow); // 'two' console.log(green); // 'three' 선언에서 분리한 할당 변수의 선언이 분리되어도 구조 분해를 통해 값을 할당할 수 있다. const a, b; [a, b] = [1, 2]; console.log(a); // 1 console.lo..
연산자 연산자란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드는 기호를 말하며, 연산의 대상을 피연산자 라고 한다. 1. 산술연산자 산술연산자는 피연산자를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계산을 해 값을 만든다. 산술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NaN을 반환한다. 종류 설명 + 두 값을 더한 결과값을 출력 - 두 값을 뺀 결과값을 출력 × 두 값을 곱한 결과값을 출력 / 두 값을 나눈 후, 몫을 출력 % 두 값을 나눈 후, 나머지를 출력 2. 대입연산자 대입연산자는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하는 이항 연산자이며, 산술연산자와 결합해 대입하기도 한다. ⚠️ 흔히 알고 있는 " = " 를 수학에서의 같다는 뜻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 종류 설명 = 왼쪽..
DOM(Document Object Model) 이란? DOM(문서 객체 모델)이란 HTML, XML 문서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로 문서내의 모든 요소를 정의하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페이지의 콘텐츠, 구조 및 스타일을 읽고 조작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하는 객체 모델이다. DOM의 구조 DOM은 원본 HTML과 비슷하지만, HTML의 내용과 구조가 객체 모델로 변환되어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DOM의 개체 구조는 트리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DOM 트리구조의 각 요소들은 노드(Node)라고 불리우며 상위 노드는 Parent Node(부모 노드)라고하고, 하위 노드는 Child Node(자식 노드) 라고 한다. 가장 하단에 위치해 Child Node를 가질 수 없는 Node를..
조건문 조건문은 작성한 조건이 참일 경우 지정한 코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종류로는 if, if~else,if else if 이 있다. if 문 / if~else문 // if문 if(true) { // 조건문이 참일때 console.log('a') // a 출력 } ---------------------- if ~ else문 if(true) { // 조건문이 참일때 console.log('a') // a 출력 } else { // 조건문이 거짓이때 console.log('b') // b 출력 } if문은 조건이 1개일 경우 사용하게 되며, if ~ else문은 참인 경우와 거짓인 경우. 조건이 2가지 일 때 사용할 수 있다. if else if문 if(a === 1) { // a가 1일 경우 co..
함수 함수란 어떤 기능을 수행하거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 원하는 기능을 함수로 만들어 놓고, 필요한 곳에서 그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사용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중복처리되는 코드를 줄일 수 있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명함수 function func() { console.log('기명함수 실행'); } func(); 기명함수를 호출하려면 함수명(); 으로 사용하면 된다. 기명함수는 선언 이전에도 함수 사용이 가능하다. 익명함수 (함수 표현식) const func = function() { console.log('익명함수 실행'); } func(); 익명함수는 함수가 변수에 할당이 된 이후부터 사용이 가능하다. 호이스팅 func1(); // 기명함수 실행 fu..
배열 변수와 상수에 담아야 할 데이터가 여러 개가 된다면, 배열을 사용하면 된다. 배열은 여러개의 데이터를 순서와 함께 저장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배열 만들기 배열을 만들 때는 대괄호[]를 이용하면 된다. let array = ["이것","하나하나가","요소라고","한다"]; 대괄호 안에는 원하는 데이터를 모아 넣으면 배열이 만들어진다. 배열 안에 데이터 하나하나를 요소(element)라고 한다. 배열의 index 배열은 데이터를 순서와 함께 저장 한다. 배열의 index는 각 요소에 순서를 부여할 뿐만이 아니라 해당 요소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index 번호는 0번부터 시작하는 것을 주의. let array = ["이것","하나하나가","요소라고","한다"]; // index 0 1 2 3 인덱..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란 자바스크립트는 웹 개발에서 사용되는 객체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로,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들고 상호작용 하는 데 사용된다. HTML은 웹 구성을 담당, CSS는 웹 디자인 담당, Javascript는 웹의 동작을 담당하여 구현한다. 자바스크립트는 보통 프론트엔드 언어라고 얘기하지만, Node.js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면 백엔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변수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는 var, let, const를 이용해 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 var var는 ES6 이전에 존재했던 변수 키워드로, var의 특징은 같은 이름의 변수로 재선언이 가능하고, 함수 스코프를 가지며, 호이스팅이 가능하다. var a = 1; console.log(a); // 1 var..